
멸강나방

멸강나방
※ 웹사이트 내 등록된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(주)SG한국삼공에 있으며
상업적/비상업적 용도의 모든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.
상업적/비상업적 용도의 모든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.
피해증상
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밤낮 구별없이 1~5일 동안은 벼의 엽육을 갉아먹다가 점차 분산하며, 4령 이후에는 낮에는 지표면에 숨어 있다가 밤에만나와서 잎, 줄기, 이삭까지 폭식하기 때문에 피해를 받은 작물은 수일 내에 줄기만 남는다. 섭식 후 먹이가 부족해지면 다른 논으로 떼를 지어 이동하여 피해를 준다.초기에는 유충이 표피만 남기고 가해하나 점차 자라면서 잎 전체를 갉아먹어 줄기만 남는다. 한 포장에서 식물을 다 먹고 나면 떼를 지어 가까운 포장으로 이동해 간다. 수년 간격으로 돌발적으로 대발생하는데 이런 경우 옥수수 뿐만 아니라 벼과 목초, 화훼류와 공원의 잔디 등도 가해하고 도로에서도 발견되어 혐오감을 준다.
발병조건
멸강나방은 벼,보리,밀,옥수수,조,수수,귀리 등 벼과 식물 대부분을 먹이로 이용할 정도로 기주 범위가 넓다. 한국,일본,중국,러시아,인도,아프리카,오스트레일리아,미국 등 광범위하게 분포한다.우리나라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고 중국으로부터 성충이 기류를 타고 날아와 발생한다. 해마다 비래시기와 비래량이 약간씩 차이가 있으며 대체로 발생최성기는 5월 하순~6월 상순으로 아카시아 꽃이 피는 시기와 일치하게 된다. 비래 후 1세대 성충은 7월 중순에 나타난다. 비래한 성충은 당류를 섭취해야만 산란을 할 수 있으며, 암컷 한 마리가 약 700개의 알을 산란한다. 부화 후 어린유충은 식물체를 섭식하면서 노숙유충이 되면 땅속 2~4㎝에 흙이나 식물의 잎 부스러기 등을 이용하여 엉성한 고치를 만든 다음 번데기가 된다. 각 태별 발육 기간은 알 기간 4~5일, 유충 기간 25~26일, 번데기 기간 7~10일이다.
예찰은 유아등보다 페로몬트랩에 잘 유인되어 페로몬에 의한 예찰이 정확하다. 멸강나방은 옥수수나 화본과 목초를 선호하여 이들 식물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 가해하고 있는 유충을 발견할 수 있다.
방제방법
해에 따라 장거리 이동량과 발생량이 크게 다르며 벼에서의 피해는 많 지 않으나 전작물 또는 목초지와 인접한 논에서 대발생하는 경우가 있다. 주 비래시기는 대체로 5월 중순~6월 상순이며,아카시아 꽃이 피는 시기와 일치한다. 이 시기는 벼의 이앙 중후기로 논보다는 옥수수 등의 전작물 또는 목초지에 날아온 양이 많다. 방제적기는 주 비래 일로부터 15~19일 이후이며,이 시기는 2~3령 유충기에 해당된다. 영기에 따라 약제에 대한 유충의 감수성이 크게 달라 4~5령부터는 약제방제 효율이 떨어지고,어린 영기에 비해 농작물을 가해하는 양이 아주 많아 큰 피해를 주기때문에 조기에 예찰하여,애벌레 초기에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.약제를 살포할 때에는 약액이 벼에 골고루 묻도록 처리하여야 하며,발생밀도가 높은 해에는 잡초 등에서 농작물로 무리지어 이동할 때 논두렁이나 도랑 등에 비닐터널 등을 설치하여 이동을 차단하고,터널에 모이면압살하거나 약제를 처 리하여 방제한다.주말농장에 옥수수 등에 유충이 발견되면 즉시 나무젓가락이나 장갑을 낀 손으로 잡아서 지퍼백 등에 넣어 밀폐시켜 죽인다. 유충은 무리를 지어 빠른 속도로 가해하므로 자주 관찰하지 않으면 수일 만에 큰 피해를 받게 된다. 농약 방제는 작물보호제 지침서의 전용약제를 사용하는데, 3령 이하일 때 효과가 높으므로 발생초기에 살포하고 4~5령부터는 약제방제 효율이 떨어진다. 성충은 성페로몬 트랩에 유인이 잘 되지만 방제 보다는 예찰에 이용된다.